마크업 코드 편집에 최적화된 편집기로서 HTML+JavaScript 기반 프로젝트를 위한 매우 좋은 도구라고 할 수 있음. 물론, C/C++와 그 형제들로 작성된 소스 코드 편집을 위한 강력한 기능들도 제공이 됨. (그래도 Vim과 Emacs가 짱임)
C++로 개발 되었으며 플러그인 시스템은 Python 엔진을 사용함. 상용이지만 구매하지 않고서 사용하는 데 기간 제한은 없음. 다만, 파일을 저장할 때 가끔 구매 권유 팝업이 뜨게 됨.
각종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편집기의 기능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단축키 또는 Command Palette(Ctrl+Shift+p)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임.
Sublime Text 홈페이지: http://www.sublimetext.com
2017년 초반인 지금까지도 3 버전이 베타에 머물고 있지만, 2 정식 버전보다 3 베타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여러 모로 유익함.
Package Control: https://sublime.wbond.net
Package Control 설치: https://sublime.wbond.net/installation
Plugin을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해 가장 먼저 설치해야 할 기본 plugin
CTags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CTags
C, C++, Java 등의 소스 코드 프로젝트 작업에 필수
ctags로 생성된 태그 파일 지원하여 함수, 변수 등 symbol을 빠르게 검색하고 찾아보는 데 유용함
.tags 파일과 tags 파일을 기본으로 찾아서 사용함
더 자세한 설명과 단축키는 위 URL 페이지 내용 참고
Git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Git
Git 연동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
Tools > Git 메뉴를 통하거나 Command Palette(Ctrl+Shift+p)를 활용해서 Git 관련 명령을 수행할 수 있음
Cscope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Cscope
cscope로 생성된 태그를 검색하고 찾아볼 수 있는 plugin
역시 자세한 사용 방법은 위 URL 페이지 내용을 참고
MakeCommands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MakeCommands
프로젝트에 포함된 makefile을 자동으로 parsing해서 그 안에 포함된 target들을 command로 만들어줌
Makefile Improved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Makefile%20Improved
Makefile에 대한 구문 강조 기능을 보강해줌
Markdown Preview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Markdown%20Preview
Markdown 파일에 대한 브라우저 미리보기, 클립보드 복사 등을 지원함
MarkdownEditing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MarkdownEditing
Markdown 구문 강조와 들여쓰기(indentation) 등을 지원함
Sublime Text에서 Markdown 파일을 편집할 때 꽤 유용함
MarkdownTOC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MarkdownTOC
작성 중인 Markdown 파일 내에서 목차를 추출해 파일의 상단에 추가해줌
orgmode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orgmode
Emacs의 org-mode 파일 (*.org) 구문 강조 지원
실제 org-mode보다 한참 모자라지만 아쉬운 대로 구문 강조만이라도 지원되므로 나름 유용함
Emmet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Emmet
구 ZenCoding. HTML과 CSS 파일 고속 편집을 위한 플러그인
TodoReview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TodoReview
소스 코드 주석 내에 포함된 TODO, FIXME 등의 항목을 찾아 목록으로 만들어주는 플러그인. 검색된 항목으로 즉시 이동이 가능하며 검색 범위를 프로젝트 파일 전체와 열린 파일을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음
SFTP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SFTP
sfp, ftps 또는 ftp를 통해 원격지 파일을 직접 편집하거나 동기화할 수 있는 플러그인. 상용임
자세한 설명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음: http://wbond.net/sublime_packages/sftp
Sublime Merge Pro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Sublimerge%20Pro
Sublime Text 편집기를 diff 또는 merge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러그인. 상용이지만 평가판에서 시간이나 기능에 제한이 없음.
공식 홈페이지: http://www.sublimerge.com
IMESupport: https://sublime.wbond.net/packages/IMESupport
Windows에서 입력기를 통한 다국어 입력이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플러그인
Sublime Text에서 Build system 추가하는 방법
Tools > Build System > New Build System 메뉴를 선택한 다음 생성된 untitled.sublime-build 파일의 내용 편집하고 저장한다. (기본으로 Packages/user 폴더에 저장한다.)
Makefile처럼 여러 개의 target을 지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"variants" 필드를 사용한다.